6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
7월~8월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입니다.
강수량은 6월~7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
8월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입니다.
여름철 동안 라니냐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호우시 시민행동요령
응급약, 손전등 등을 준비합니다.
피난 가능한 장소와 비상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하수구와 집주변 배수구를 점검합니다.
하천, 지하공간에 있는 차를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기상 예보 및 호우상황에 귀 기울입니다.
상습침수지역 거주민은 대피를 준비하세요.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가지 않습니다.
대피할 때는 수도와 가스 밸브, 전기차단기를 내립니다.
전신주, 가로등 근처로 가지 않습니다.
침수된 집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므로 환기를 먼저 합니다.
가스, 전기는 기술자 안전조사 후 사용합니다.
오염물에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먹지 않습니다.
붕괴위험이 있는 도로나 제방 쪽으로 가지 않습니다.
넘어진 가로등, 전선을 보면 접근하지 마시고 (국번없이)123에 신고하세요.
태풍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니다.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망을 미리 숙지합니다.
날아갈 위험이 있는 가구, 자전거 등을 고정시킵니다.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여 파손을 막습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손전등을 준비하고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차단합니다.
집안 출입문과 창문을 잠급니다.
공사장 근처로 가지 않습니다.
바닥에 떨어진 전선, 가로등 근처에 가지 않습니다.
물은 꼭 끓여서 먹습니다.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 복구 시에는 사진을 찍어 둡니다.
붕괴위험이 있으니 제방근처는 가지 않습니다.
오존이란?
고농도 오존 시민행동요령
※ 오존 예보 및 경보 문자서비스 신청 :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누리집
“나무가 쓰러졌어요!”
“우리집에 물이 들어와요”
우리 집에, 이웃에 재난상황이 닥쳤을 때 즉시 연락주세요.
서울시가 시민 여러분을 안전하게 지켜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