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전 지키는 안심헬프미 신청

내 안전 지키는 안심헬프미 신청

서울시 안심헬프미란?

1지원대상

  • 안전에 취약한 서울시민 및 서울 생활권자 (서울소재 직장 또는 학교 소속)

2지원물품

  • 안심이앱과 연동되어 긴급신고가 가능한 휴대용 안심헬프미

    해치

    댕댕청룡

    화난주작

    신규추가 돌격백호

    신규추가 욜로현무

    ※ 5종 중 택1

3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아래 「신청하기」 버튼 클릭을 통해 신청 가능
    • (무료) 「서울특별시 사회안전약자 등 범죄피해 예방 지원 조례」에 따른 “사회안전약자”

      * 「서울특별시 사회안전약자 등 범죄피해 예방 지원 조례」 제2조(정의)

      3. “사회안전약자”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가. 여성,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나. 생활환경이 범죄에 취약한 1인가구 거주자 및 1인점포 운영자

      다. 언어적·정보적 측면에서 취약한 외국인 및 다문화 가정 구성원

    • (일부 자부담) 이외 안심헬프미 수요가 있는 일반 시민은 자부담금 7천원 결제 후 지원

4신청기간

  • 2025. 11. 04.(화) 10:00 ~ 11. 28.(금) 18:00

5사용방법

  • 안심헬프미와 안심이앱 연동완료 후 긴급상황 발생 시 안심헬프미 긴급신고 버튼 클릭

    ※ 안심헬프미 긴급신고 시 블루투스가 켜져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6유의사항

  • 안심헬프미는 안드로이드 13버전 이상(갤럭시 S22 등), iOS 15버전 이상(아이폰 6s, SE 1세대 등)의 스마트폰에서 사용 가능하며, 일부 키즈폰 등에서는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2020년 이후 출시된 스마트폰의 경우 사용 가능합니다.)

    ※ 다만, 서울 안심이 앱을 켜지 않고도 안심헬프미 긴급신고 버튼을 누르면 신고가 접수되는 기능은 현재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가능합니다.

  • 2024년 휴대용 안심벨(헬프미) 기 선정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안심헬프미 수령 이후 오신고 빈도가 잦은 사용자, 안심이앱과 연동을 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물품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안심헬프미 이럴 때 사용하세요.

① 긴급상황 발생 시

② 안심헬프미 긴급신고 버튼
3초 이상 클릭

③ 안심헬프미와 안심이 앱에서 경고음 발생, 긴급신고

④ CCTV 등 현장확인

⑤ 경찰 출동 및 검거

서울시 '안심이 앱'과 연동하세요.

안심이 앱
안심헬프미

서울시 ‘안심헬프미’는 안심이 앱 연동 후 사용이 필수입니다.

※ 자세한 연동 방법은 안심헬프미 지원 시 동봉되는 사용설명서 참조해주세요.

안심이앱

서울시 안심이 앱이란?

실시간 위치 확인을 통해 서울 시민을 범죄 및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서울시 앱

  • 긴급신고

    서울 안심이 앱을 켜고 귀가 시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긴급신고 버튼을 누르거나 폰 흔들기 또는 볼륨 버튼을 반복해서 누르면 경찰이 긴급출동합니다.

  • 귀가 모니터링

    집까지 안전하게 귀가하는지 관제센터에서 CCTV로 확인하고, 돌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처까지 모니터링합니다.

    * 앱 실행 후 ‘모니터링’ 클릭 → 도착 장소 입력

  • 안심경로

    집까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안심시설이 많은 3가지 경로를 추천해 줍니다.

    * 안심시설 - 스마트보안등, CCTV, 지구대 등

  • 안심친구

    서로를 지켜주는 안심친구, 안심친구를 등록하면 실시간으로 상대방에게 위치정보가 공유됩니다.

    * 앱 실행 후 ‘안심친구’ 클릭 → 안심친구 등록, 위치 공유

  • 안심영상

    CCTV가 없는 길에서도 스마트폰 영상을 촬영하면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합니다.

    * 앱 실행 후 ‘안심영상’ 클릭 →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면서 이동

  • 안심귀가 스카우트
  • 안심시설물 위치 안내
  • 안심장비 연동 서비스

안심이 설치 링크